프로젝트 일정관리 전문가

교육일정 | |
---|---|
교육시간 | 2일, 14시간 / 1-2일차 09:30~17:30 |
교육장소 | 한국생산성본부 2층 207호 |
고용보험 | 고용보험 비환급 ? |
교육비
|
정상가 650,000 원 KPC 유료법인회원 600,000 원 |
교육문의 | ICT교육센터 02-724-1830 / jslee@kpc.or.kr / 결제·계산서문의 : 02-724-1212 |
교육시간
1-2일차 09:30~17:30
교육목적/특징
['신청하기' 버튼이 보이지 않는 과정은 접수 마감이 된 과정입니다.]
▶ PMI의 자격 보유자 (PMP등)는 본 과정 참여시 자격유지를 위한 14PDUs 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Ways of Working 7 / Power Skills 0 / Business Acumen 7)
■ 해당강의는 이론강의와 함께 프로젝트 관리 툴인 'Primavera P6' 를 기반으로 한 실습을 병행하여 진행합니다.
해당 툴을 사용중이신 혹은 해당 툴에 대한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 입과를 추천드립니다.
[ 교육 개요 ]
미국 프로젝트 관리 협회(PMI)에서는 프로젝트의 “유일한”, “한시적인” 특징을 강조합니다. 이처럼 프로젝트에서는 일정관리가 매우 중요한 관리 항목입니다.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가 프로젝트 일정에 따라 좌우되며, 많은 갈등이나 조정사항들도 일정과 함께 하기 때문입니다.
일정관리는 많은 PM(프로젝트 관리자)들이 프로젝트 관리의 10가지 영역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조직의 상당수 또한 PM에게 “On Time Delivery”를 최우선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간’ 자체의 관리를 통한 일정관리는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습니다. 시간은 현실적으로 우리가 관리할 수 없는 영역이므로, 오히려 한정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원’을 관리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Labor, Non-labor, Material을 중점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프로젝트 일정을 준수하게 만들 수 있을까요? 합리적인 계획 확립, 프로젝트 상태 파악 및 납기 내 프로젝트 달성 여부 판단, 그리고 목표 달성을 위한 일정 조정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을 활용해야 할까요? 프로젝트 일정관리 실무는 바로 이런 궁금증을 해결해 드리기 위한 교육과정입니다. 프로젝트 일정관리에서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내용들을 만나 보시기 바랍니다.
[ 교육 목적 / 특징 ]
■ PMI 자격(PMP, RMP 등) 유지 및 신규 응시를 위한 14PDUs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일정관리 기법과 툴(Tool) 활용을 통한 다양한 사례와 실습이 제공되어 실무에 유용합니다.
■ 해당강의는 이론강의와 함께 프로젝트 관리 툴인 'Primavera P6' 를 기반으로 한 실습을 병행하여 진행합니다.
해당 툴을 사용중이신 혹은 해당 툴에 대한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 입과를 추천드립니다.
교육대상
■ 프로젝트 관리자와 사업 관리자 / 기타 프로젝트 이해 관계자
■ 기업체에서 프로젝트 관리를 담당하는 PM, PL 및 팀원
■ 기업체에서 일정(공정)관리 실무 담당자
■ 최신 일정 및 진척 관리 기법을 습득하고자 하는 실무 담당자
* 본 교육과정은 개강일 기준으로 약 7일 전 개강 여부를 확정하며,
최소한의 수강생이 모이지 않을 경우 폐강될 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수강신청 완료자분들을 대상으로 개강일 기준 약 7일 전, 문자/메일로 안내드리고 있습니다.)
교육내용
일자 | 내용 |
---|---|
1일차 | [Phase 01] Prologue - 프로젝트 관리 영역 및 관리 기준 - 프로젝트 관리의 5 Progress Group |
[Phase 02] 프로젝트 Planning - Quadrant Approach in Time Management - 5W1H Concept in Time Management - Time Management in PMBOK - History of Time Management -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이해 - ISO 9001 vs. Time Management | |
2일차 | [Phase 03] 프로젝트 일정관리 - 일정계획 표준 프로세스 및 작성 기준의 필요성 - PERT/CPM 방법론을 적용한 일정 계획 - PDM을 적용한 Network Diagram 작성 - 일정 단축기법 (Crashing & Fast Tracking) - 성과측정을 위한 자원 할등 및 최적화 |
[Phase 04] 일정 성과 측정 및 평가 - 일정의 불확실성 적용을 통한 일정 변동성 검토 - 효과적 성과관리를 위한 Schedule Health Check 검토 -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의 이해 - Extension of Time 분석기법의 이해 | |
[Phase 05] Epilogue | |
※ 과정의 개강여부는 개강일 약 7일 전 확정되며, 최소한의 수강생이 모이지 않을 경우 폐강될 수 있습니다. |
연관 자격
자격증명 | 자격증관련링크 |
---|